<산당귀. 바디나물등과 비슷하나 맹독을 지닌 독초>
당귀(當歸) = 참당귀, 토당귀, 일당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 키 100-150cm, 자주색(참당귀), 흰색(일당귀)의 꽃을 7-8월에 피워 열매를 맺음
- 용도 ; 약용- 보혈(補血), 진정(鎭靜), 구어혈(驅瘀血),
식용 -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
- 조혈, 혈액순환개선작용
- 빈혈, 산후빈혈, 백혈병, 뇌대사 활성화, 고지혈증 용해, 혈압 강하등에 효험.
- 월경불순, 월경통, 산후 자궁 수축 개선, 변비 치료에 효과
일반적으로 . 당귀는 이름도 친숙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당귀와 유사한 개당귀가 있는데 모양이 비슷하여 구별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당귀는 몸에 좋지만 개당귀는 猛毒성을 가진 풀이며, 개당귀를 당귀로 誤認하여 뿌리를 먹고 사망 및 중독을 당한 사고 사례가 있어 여기에 당귀와 개당귀의 특징과 구별방법을 밝히므로 이러한 오인사고를 줄이도록 一助를 하고자 한다.
당귀(當歸), 참당귀 |
명칭 |
지리강활(智異羌活) |
目貴草, 當赤, 宿根草 |
이명 |
개당귀, 남당귀 |
전체 |
||
잎1 |
||
|
잎2 |
|
잎은 1-2회 3출겹잎이며 3-5갈래로 거듭갈라지며 갈래는 긴 타원형이고 끝은 뾰쪽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엽초는 넓고 크다. 가장자리의 톱니의 크기 및 배열이 고르지 못하다. 잎이 서로 갈라지는 곳에 잎이 연결되어 있다.
상처난 잎에서 흰색의 진액이 나며 달콤한 향이 난다. 잎의 뒷면의 색이 앞면의 색과 같다. |
잎 특징 |
잎은 한줄기에 3개로 갈라 지고 갈라진 줄기에서 다시 3개로 갈라져 갈라진 가지마다 9개의 잎으로 되어 있으며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이 당귀보다 좁다.
가장자리의 톱니의 배열이 균일하다. 상처난 잎에서 역겨운 냄새가 난다. 잎이 서로 갈라지는 부분에 분리되어 있고, 잎의 뒷면의 색이 앞면의 색보다 흰색이 많다. |
줄기 |
||
줄기는 곧게 자라며 어릴 때는 연녹색이나꽃대 줄기는 가을철이 되면 자색을 띤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연하다. (손으로 눌러보아 쉽게 눌려진다) 줄기가 상대적으로 굵다 줄기에 홈이 파져있다.(줄기의 단면이 홈이 파진 원형이다) |
줄기 특징 |
줄기는 곧게 자라며 대부분 녹색이나 잎으로 분기되는 곳은 부분적으로 검붉은색을 띤다. 줄기가 당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하다.(당귀에 비하여 단단한 편이다) 줄기의 굴기가 상대적으로 가늘다 줄기의 단면이 원형이다. |
뿌리 |
||
줄기의 아래 부분이 연두색이다. 뿌리는 굵은 뿌리와 잔뿌리가 함께 나있으며 뿌리가 연하다. 상처난 부위에 흰색의 진액이 나오며 냄새를 맡으면 향긋하고 달콤한 냄새가 난다. 뿌리가 3갈래도 있지만 여러 갈래로 갈라져있다. |
뿌리 특징 |
줄기의 아래 부분이 자색을 띤다. 뿌리는 옆으로 퍼져있고 뿌리의 껍질은 진한 갈색을 띤다. 상처난 부위의 냄새를 맡으면 역겨운 냄새가 난다. 뿌리가 대부분 3갈래이다. |
꽃은 7-8월에 자색 겹산형화서의 꽃이 피며 10월에 결실을 맺는다. 총포는 1-2장 넓고 짧으며 엽초모양, 작은 총포는 5-7장 좁은 창처럼 생기고, 꽃잎은 5장 긴 타원형 끝이 아주 뾰쪽하고 수술은 5개, 자방은 하위, 1실 열매는 분과, 타원형, 넓은 날개가 있고 길이 5mm,더러 자색을 띤다. |
꽃 특징 |
7-8월에 흰색의 꽃이 피며 겹산형화서이다. |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나는 다년생풀로서 키는 어린 것은 60cm에서 큰 것은 약2m정도까지 있으며 봄철 어린 것은 녹색이나 여름철과 가을철엔 자주빛이 돈다. |
서식 특징 |
지리산에 많다 하여 지리강활이라고 하며 우리나라 중부이남에 분포하는 다년생초이다.특히 지리산 해발 1500m높이 부근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
어린 잎과 뿌리는 식용하며 잎은 날로 쌈을 해 먹거나 삶아 묵나물로 먹고 뿌리는 차나 술을 담그어 마신다. |
식용 및 독성 유무 |
식용할 수 없다. |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비타민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이밖에도 빈혈로 오는 두통, 관절염등에 널리 사용한다. 자궁출혈이 심할 때는 사용하지 않으며 장기간 또는 다량투여하는 것도 삼간다. |
약용 |
지리강활은 有毒植物로 대부분 약용으로도 쓰지 않으나 때에 따라 또는 약사에 따라 약용으로 쓰기도 한다. 독성이 크면 약효도 크다고 한다. 다만 유사한 강활의 뿌리는 해열진통제, 피부진균 억제제 등에 쓴다.
|
※겹산형화서(-傘形花序) : 꽃의 생김새가 한 점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갈라진 가지 끝에 꽃이 우산모양(傘形)으로 여러 갈래로 피는 모양으로 2중의 우산모양이다.
'산야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다래나무 수액 효능 ; 5 년만의 발견 (0) | 2008.06.22 |
---|---|
[스크랩] 단풍취 (0) | 2007.05.31 |
[스크랩] 두릅나무(총목피:曾木皮) (0) | 2007.05.31 |
[스크랩] 꾸지뽕나무 (0) | 2007.05.31 |
[스크랩] 참당귀(당귀:當歸, 승검초) (0) | 2007.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