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내용은 초보자가 따라할경우
크게 잘못될수 있으니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나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갑자기 다운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리소스의 부족때문에 발생합니다.
일단...컴퓨터를 보다 안정적인 환경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램의 용량을 늘리는 것을 가장 먼저 떠올리시겠지만, 그보다 더 간단한 그리고 돈 안들이는 시스템 향상
방법이 있습니다. 다소 생소한 용어인 리소스를 확보하는 방법인데요..
먼저 리소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하게라도 짚고 넘어가야겠지요.
리소스란 그래픽 환경으로 이루어진 윈도우에서 그래픽 요소들이 저장되는 128KB를
가진 지역 힙(Heap)이라는 곳이 있는데 128KB의 지역힙만을 우리는 리소스 라고 부릅니다. 이 영영에 저장되는 것은 윈도우의 바탕화면이나 아이콘, 폰트, 사운드 등의
그래픽 요소와 기타 레지스트리 등의 시스템 자원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한가지 궁금증 하나. 만일 하드웨어 램의 용량을 크게 늘리면 128KB의 리소스 영역도 늘어나게 되는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 영역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128KB 공간을 사용하는가가 리소스 확보의 최대 주안점이 되는 것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리소스'라는 걸 많이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1. 화면보호기, 배경화면, 배경무늬, 테마를 없앤다.
2. 디스플레이등록정보에서 화면배색은 '윈도우즈 표준'으로 선택
3. 바탕화면을 웹 설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4. 색상수는 16비트면 충분하므로 그 이상 올리지 말고, 해상도도 현제 설정값에서 한 두 단계 설정 값을 내린다.
5. 제어판의 사운드 항목에서 '사운드 구성표' 항목의 드롭다운 단추를 클릭하여
'사운드 없음'을 선택한다.
6. '시작'단추의 '실행' 메뉴를 실행하여 'MSCONFIG'를 실행,
(1) 그 다음 CONFIG.SYS 탭에 있는 선택항목을 전부꺼준다.
(윈도우는 별도의 메모리 관리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
(2) AUTOEXEC.BAT 탭의 선택항목도 모두 꺼준다.
(3) 그리고 가장 오른쪽의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윈도우에서 쓰는 기본적인 4가지
(레지스트리 검사, TASKMONITOR, SYSTEM TRAY, LOADPOWERPROFILE)만 빼놓고 전부
체크표를 없애준다.
7. 레지스트리를 정리한다. '시작' →'실행' → 'REGEDIT' 입력
(1) 화면색 구성표 삭제: 바탕에서 많이 사용되는 화면색 구성표를 줄여봅시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면구성표는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색 구성표를
놔둘 필요가 없습니다. 편집기의 왼쪽 선택창에서 'HKEY_CURRENT_USER' 항복을
더블클릭한후 하위 항목이 나타나면 'Control Panel' - 'Appearance' - 'Schemes'로 이동한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가지색, 겨자색, 고대비 등의 색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일을 삭제하듯 삭제하여 줍니다.
(2) 사운드 구성표 삭제: 필요없는 사운드 구성표는 지워도 상관없습니다.
'HKEY_CURRENT_USER' - 'AppEvents' - 'Schemes' - 'Names' 로 이동하여 'Names'앞
의 (+)를 클릭합니다.
* 삭제를 원하는 사운드 구성 폴더를 삭제합니다.
(3) 마우스 포인터 구성표 삭제: 'HKEY_CURRENT_USER' - 'ControlPanel' - 'Cursors' - 'Schemes'로 이동하여 사용하지 않는 값을 삭제하여 줍니다.
(4) 키보드 설정 값 삭제: 특별한 사용자가 아니라면 한국과 미국 이외의 키보드 값
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다른 여러 나라들에 대한 키
보드 설정값은 지워도 됩니다.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Keyboard Layouts' 으로 이동한후 한국어와
미국 영어를 제외한 모든 키보드 설정 값 폴더를 삭제합니다.
한국어는 뒷 세자리가 412이며 미국어는 409가 붙습니다. 이외의 모든 키보드
설정값은 삭제합니다.
(5) 언어 설정 값 삭제 : 키보드 설정과 마찬가지로 언어 설정도 삭제하도록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언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삭제하도록 합니
다. 'HKEY_LOCAL_MACHINE' -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Nls' - 'Local e'로 이동합니다.
영어(409)와 한국어(412)를 제외한 모든 언어 설정값을 삭제합니다.
(6)아이콘 역시 리소스...폴더 하나를 만들고 그안에 다 넣어서 사용합니다.
넘 복잡하다구요. 하지만 원리는 간단 합니다. 눈에 보이고 듣는 그 모든것이
리소스 입니다...
그것을 최대한 줄이면 아주 컴퓨터가 빨라지고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이것은 리소스의 부족때문에 발생합니다.
일단...컴퓨터를 보다 안정적인 환경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램의 용량을 늘리는 것을 가장 먼저 떠올리시겠지만, 그보다 더 간단한 그리고 돈 안들이는 시스템 향상
방법이 있습니다. 다소 생소한 용어인 리소스를 확보하는 방법인데요..
먼저 리소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하게라도 짚고 넘어가야겠지요.
리소스란 그래픽 환경으로 이루어진 윈도우에서 그래픽 요소들이 저장되는 128KB를
가진 지역 힙(Heap)이라는 곳이 있는데 128KB의 지역힙만을 우리는 리소스 라고 부릅니다. 이 영영에 저장되는 것은 윈도우의 바탕화면이나 아이콘, 폰트, 사운드 등의
그래픽 요소와 기타 레지스트리 등의 시스템 자원들이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서 한가지 궁금증 하나. 만일 하드웨어 램의 용량을 크게 늘리면 128KB의 리소스 영역도 늘어나게 되는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 영역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128KB 공간을 사용하는가가 리소스 확보의 최대 주안점이 되는 것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시스템 리소스'라는 걸 많이 확보하는 방법입니다.
1. 화면보호기, 배경화면, 배경무늬, 테마를 없앤다.
2. 디스플레이등록정보에서 화면배색은 '윈도우즈 표준'으로 선택
3. 바탕화면을 웹 설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4. 색상수는 16비트면 충분하므로 그 이상 올리지 말고, 해상도도 현제 설정값에서 한 두 단계 설정 값을 내린다.
5. 제어판의 사운드 항목에서 '사운드 구성표' 항목의 드롭다운 단추를 클릭하여
'사운드 없음'을 선택한다.
6. '시작'단추의 '실행' 메뉴를 실행하여 'MSCONFIG'를 실행,
(1) 그 다음 CONFIG.SYS 탭에 있는 선택항목을 전부꺼준다.
(윈도우는 별도의 메모리 관리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
(2) AUTOEXEC.BAT 탭의 선택항목도 모두 꺼준다.
(3) 그리고 가장 오른쪽의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윈도우에서 쓰는 기본적인 4가지
(레지스트리 검사, TASKMONITOR, SYSTEM TRAY, LOADPOWERPROFILE)만 빼놓고 전부
체크표를 없애준다.
7. 레지스트리를 정리한다. '시작' →'실행' → 'REGEDIT' 입력
(1) 화면색 구성표 삭제: 바탕에서 많이 사용되는 화면색 구성표를 줄여봅시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면구성표는 극히 일부분이기 때문에 많은 수의 색 구성표를
놔둘 필요가 없습니다. 편집기의 왼쪽 선택창에서 'HKEY_CURRENT_USER' 항복을
더블클릭한후 하위 항목이 나타나면 'Control Panel' - 'Appearance' - 'Schemes'로 이동한후 많이 사용하지 않는 가지색, 겨자색, 고대비 등의 색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일을 삭제하듯 삭제하여 줍니다.
(2) 사운드 구성표 삭제: 필요없는 사운드 구성표는 지워도 상관없습니다.
'HKEY_CURRENT_USER' - 'AppEvents' - 'Schemes' - 'Names' 로 이동하여 'Names'앞
의 (+)를 클릭합니다.
* 삭제를 원하는 사운드 구성 폴더를 삭제합니다.
(3) 마우스 포인터 구성표 삭제: 'HKEY_CURRENT_USER' - 'ControlPanel' - 'Cursors' - 'Schemes'로 이동하여 사용하지 않는 값을 삭제하여 줍니다.
(4) 키보드 설정 값 삭제: 특별한 사용자가 아니라면 한국과 미국 이외의 키보드 값
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등록되어 있는 다른 여러 나라들에 대한 키
보드 설정값은 지워도 됩니다.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Keyboard Layouts' 으로 이동한후 한국어와
미국 영어를 제외한 모든 키보드 설정 값 폴더를 삭제합니다.
한국어는 뒷 세자리가 412이며 미국어는 409가 붙습니다. 이외의 모든 키보드
설정값은 삭제합니다.
(5) 언어 설정 값 삭제 : 키보드 설정과 마찬가지로 언어 설정도 삭제하도록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언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삭제하도록 합니
다. 'HKEY_LOCAL_MACHINE' -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Nls' - 'Local e'로 이동합니다.
영어(409)와 한국어(412)를 제외한 모든 언어 설정값을 삭제합니다.
(6)아이콘 역시 리소스...폴더 하나를 만들고 그안에 다 넣어서 사용합니다.
넘 복잡하다구요. 하지만 원리는 간단 합니다. 눈에 보이고 듣는 그 모든것이
리소스 입니다...
그것을 최대한 줄이면 아주 컴퓨터가 빨라지고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출처 : 성동초등25회 동기들
글쓴이 : 장성화 원글보기
메모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함양군 수동면 내백마을 (0) | 2008.04.15 |
---|---|
[스크랩] 경남도청 정원 이야기 (0) | 2008.02.14 |
[스크랩] ["이렇게 선교 했어요” - 독자 선교체험 수기] (하) (0) | 2007.10.17 |
성서속의 인물 (0) | 2007.09.22 |
중동 성당 본당의날 행사 (0) | 2007.09.22 |